Table of Contents
마크다운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로서, 간결한 구문으로 서식이 미리 지정된 문서 생성이 가능하다.
마크다운 사용법에 대해 다소 어렵게 느끼는 사용자들이 많지만 몇 가지 기능만 숙지하고 숙달된다면, 간단한 조작만으로 깔끔하게 정리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.
현재 Markdown은 노션(Notion), 옵시디언(Obsidian),업노트(upnote)등의 노트 어플과 워드프레스 등에서 적용 가능하다.
마크다운 사용법
1 헤더 (제목)
마크다운에서 헤더는 문서 내의 서로 다른 섹션을 구분 짓는 데 사용되는데,#
을 입력하고 space bar
를 눌러 한 칸을 띄워 입력이 가능하다.
헤더는 단락의 시작을 나타내고 그 아래에 이어지는 내용과 구분짓는 열할을 한다.
예를 들어 #
은 가장 큰 제목인 H1에 해당하며, ##
는 그 다음 인 H2에 해당한다.
H1이 가장 큰 제목이고 H6 까지 사용할 수 있다.
H1
부터 H6
까지의 크기와 색상, 간격등의 스타일은 CSS를 통해서 조절 가능하며, 프로그램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.
![마크다운 헤더 제목](https://booktracing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1/마크다운-헤더-제목.webp)
2 강조 (굵은 글씨)
강조하고자 하는 단어를 **단어**
또는 __단어__
(밑줄 2개씩) 를 감싸서 적용한다.
굵은 글씨로 표현되며 단순한 시각적인 강조 뿐만 아니라 내용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서 많이 쓰인다.
3 기울임
글자를 기울 일 때는 *단어*
또는 _단어_
(밑줄 1개) 를 감싸서 적용한다.
4 리스트 만들기
새로운 텍스트 라인에서 -
나 *
또는 +
를 누르고 한 칸을 띄우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.
숫자로 적용을 하려면 1.
를 작성 및 내용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줄에서 2.
가 자동으로 생성된다.
목룍 내에서 들여쓰기를 하려면 탭Tab
키를, 내어쓰기(들여쓰기 취소)는 shift+tab
엔터를 누르면 다음 리스트 작성을 위해 불렛∙
이 자동으로 입력되고 리스트 작성 모드가 계속되는데, 이를 멈추고 일반 텍스트를 입력하려면 내용을 비우고 엔터를 한번 더 누르면 된다.
5 링크
[텍스트](URL 주소)
형식으로 링크를 삽입할 수 있으며, [텍스트]
부분은 사용자가 화면에서 볼 수 있는 텍스트이며, (URL 주소)
는 링크를 클릭했을 때 이동하는 웹페이지의 주소이다.
[북트레싱](https://booktracing.com)
으로 입력하면 화면에는 북트레싱
만 보이게 된다.
6 이미지
![대체 텍스트](이미지 주소 URL)
로 링크를 만드는 마크다운의 맨 앞에 느낌표를 추가하는 형식으로 이미지를 직접 화면에서 보여준다.
대체 텍스트(알트 텍스트)는 화면에 보이지 않지만 이유는, 이미지가 로드되지 않을 때 이미지 내용을 설명해주는 역할을 한다.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이미지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형식으로 블로그의 SEO 등에 유리하며, 대체 텍스트를 굳이 입력되지 않고도 ![](이미지 주소 URL)
의 형식으로 삽입 가능하다.
7 인용 (Quote)
인용문은 다른 출처에서 가져온 문장이나 문단을 글에 포함 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.
텍스트 라인의 맨 앞에 >
를 입력하고 한 칸의 띄우면 적용된다.
![마크다운 인용문](https://booktracing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1/마크다운-인용문.webp)
인용을 연결하려면 빈 줄에도 >
가 추가 되어야 하며,
예시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단락 사이에는 >
가 있고, 두 번째와 세 번째 사이에는 >
없이 공백으로 처리하였다.
8 인라인 코드, 코드 블록
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뉜다. `
(백틱)을 사용해서 간단한 인라인 코드를 표시할 수 있고,
```
백틱 3개를 연속으로 입력하면 코드 블록을 만들 수 있다.
백틱`
을 사용하여 코드를 입력하는 이유는 마크다운 문서 내에서 코드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않고 텍스트로 보여주기 위함이다.
그리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“`java 이런 식으로 입력을 하게 되면 코드를 더욱 보기 쉽게 바꿔준다.
![마크다운 코드 블록](https://booktracing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1/java-코드-예시-1024x252.webp)
9 구분선 (수평선)
기본적으로 하이픈 3개 ---
을 사용하며, ***
, ___
(언더스코어 3개)로도 사용 가능하다. 이는 문서내에서 시각적으로 글을 구분지을 수 있어 내용을 전환할 때 주로 쓰여 가독성을 높여 준다.
내용의 중간에서 사용할 수 없고, 텍스트 라인의 맨 앞에서만 사용 가능하다.
10 체크 리스트
- [ ]
을 입력하고 space bar
를 누르면 비어있는 체크리스트 ○
가 만들어 진다.
이 기능은 할 일을 작성할 때 사용되며 ○
를 마우스 클릭하여 ‘완료’로 변경도 가능하다.
추가 CSS 기능을 활용하면 다양한 시각적 표시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. 예를 들어서 진행 중이거나 , 취소된 항목을 다른 색상이나 스타일로 구분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도 있다.
11 테이블 (표 작성)
마크다운에서 표를 만들 때는 |
(파이프: 엔터키 위)와 -
(하이픈)의 기호를 조합하여 사용한다. 참고로 파이프 기호 |
는 엔터키 위에 있는 shift+\
로 입력이 가능하다.
|
는 테이블의 열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고, -
은 헤더와 나머지 테이블을 구분시켜 준다.
각 열의 헤더를 파이프 기호로 구분한 다음 줄에 하이픈과 파이프 기호를 사용하여 테이블 헤더를 생성하고, 이후 각 행을 파이프로 구분한다.
테이블 작성의 예를 들면
| 제품명 | 가격 | 수량 |
|--------|------|------|
| 사과 | 1000원 | 10개 |
| 바나나 | 2000원 | 5개 |
| 포도 | 3000원 | 3개 |
제품명 | 가격 | 수량 |
---|---|---|
사과 | 1000원 | 10개 |
바나나 | 2000원 | 5개 |
포도 | 3000원 | 3개 |
기타
12 텍스트를 그대로 입력하고 싶을 때
마크다운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텍스트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고 싶으면 이스케이프 문자인 \
(백슬래시)를 사용한다.
예를 들어서 기울임을 설명할 때 *
기호를 사용해야 하는데 그대로 *기울임*
을 쓰면 문자가 기울여진다.
이때 \*
이런 방식으로 입력해주면 *
기능이 사용되지 않는다.
![마크다운 기울임](https://booktracing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1/마크다운-기울임.webp)
13 추가 기능
표준 마크 다운 이외에도 어플에서 제공하는 확장 기능에 따라서 추가로 여러가지 기능을 사용 가능하다.
마무리
Markdown(마크다운)은 간결성과 범용성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. 처음에 접하면 조금 어렵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명령어와 구조를 파악하고 익숙해지면 키보드 타이핑만으로 깔끔하고 정리된 문서 작성이 가능해진다.
그리고 앞으로 다룰 지식 관리 프로그램인 옵시디언에서는 마크다운을 지원하기 때문에, 숙지해두면 세컨드브레인을 구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.